학종에 대한 모든 것/생기부 및 보고서 작성법 (6) 썸네일형 리스트형 [학종 입시] 생기부 독서 추천 2022년 현 고등학생 3학년 학생들까지는 생기부에 이 반영되지만, 현 고등학생 2학년 부터는 이 부분이 삭제됩니다. 그렇다고 해서 이제 독서가 별로 의미 없어지는 것일까요? 결코 아니에요. 오히려 이제는 독서를 양치기로 하는 게 아니라 정말 좋은 책들을 잘 선별해서, 생기부 세특과 진로활동 등에 틈틈히 녹여내는 게 매우 중요해질거예요. 그래서 독서 선택은 훨씬 중요해질 거고요. 그런 의미에서 오늘 어떤 도서를 선별해서 생기부에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. 1. 고전은 꼭 넣으세요. (1) 고전은 필수입니다. "고전"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을 거예요. 그러나 문과생은 어느 학과를 지원하든 인문학적 소양이 정말 중요해요. 인문학의 중요성은 문과생만에 국한된 이야..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5편: 보고서 작성] 지난 시간에는 목차를 잡고(3편) 자료를 찾는 방법(4편)을 알아보았습니다. [3편: 목차] https://writing-mentor.tistory.com/5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3편: 목차] [1편]과 [2편]에서는 경영학과 지망생이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를 작성할 때 "어떤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?"에 대해 방법론을 알려드렸습니다. [2편]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클릭 writing-mentor. writing-mentor.tistory.com [4편: 자료찾기] https://writing-mentor.tistory.com/6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4편: 자료찾기] 지난 시간에는 주제를 찾고 목차를 잡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. [3편: 목차잡기]..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4편: 자료찾기] 지난 시간에는 주제를 찾고 목차를 잡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. [3편: 목차잡기]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클릭 writing-mentor.tistory.com/5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3편: 목차] [1편]과 [2편]에서는 경영학과 지망생이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를 작성할 때 "어떤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?"에 대해 방법론을 알려드렸습니다. [2편]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클릭 writing-mentor. writing-mentor.tistory.com 지난 시간에 설정했던 보고서 주제 '환경경영'을 가지고 자료를 찾아보겠습니다. 우선 주제를 선정하고 목차를 잡을 때 봐두었던 자료들이 있을 겁니다. 그 자료들의 링크 정도는 미리미리 잘 기입을 해두는 것이 좋답니다. 아래 예시처..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3편: 목차] [1편]과 [2편]에서는 경영학과 지망생이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를 작성할 때 "어떤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?"에 대해 방법론을 알려드렸습니다. [2편]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클릭 writing-mentor.tistory.com/4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2편: 주제] 지난 1편 '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보고서(주제찾기)' 에 이어서 주제찾기 2편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. [1편]이 궁금하신 분 아래 클릭 https://writing-mentor.tistory.com/3 경영학과 지망생 writing-mentor.tistory.com 이제 주제를 선정했으니 다음 단계는 '목차잡기' 입니다. 무작성 글을 작성하기 시작하면 막막할 수밖에 없죠. 목차를 잡고 시작하면 그 막..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2편: 주제] 지난 1편 '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보고서(주제찾기)' 에 이어서 주제찾기 2편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. [1편]이 궁금하신 분 아래 클릭 https://writing-mentor.tistory.com/3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1편] 경영학과 지망생이라면 한국지리 탐구보고서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? 일부러 연관성이 별로 없어 보이는 '경영학'과 '한국지리'를 첫 예시로 들었습니다. 아무리 관련이 없어 보이는 전공과 writing-mentor.tistory.com 1편에서는 꼬리를 무는 검색을 통해서 주제를 찾는 방법론을 말씀드렸습니다. 대표적으로 한국지리 수능특강 목차에 나와있는 '기후'와 경영학과의 핵심 키워드인 '경영'이라는 큰 키워드를 두 개를 섞어서 간편한 검..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보고서 [1편] 경영학과 지망생이라면 한국지리 탐구보고서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? 일부러 연관성이 별로 없어 보이는 '경영학'과 '한국지리'를 첫 예시로 들었습니다. 아무리 관련이 없어 보이는 전공과 과목이라도 연결고리를 반드시 찾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. 경영학과 지망생이 한국지리 탐구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1단계인 '주제찾기'의 핵심은, 주요 키워드 포착과 그 키워드를 중심으로 꼬리를 무는 검색을 하는 것입니다. 1. 우선 한국지리 교과서나 문제집 아무거나 펼쳐서 목차를 확인합니다. 한번 쭉 훑으면서 어떤 주제가 경영학과 연결될 수 있을지 생각해봅니다. 저는 수능특강 한국지리 목차를 가져왔습니다. 보통 세특을 위한 보고서 과제가 1학기와 2학기 두번에 걸쳐 나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우선 1학기.. 이전 1 다음